11월 18일
Cointegration(공적분)
만약 unit-root가 있다면, 가성적이니까 못하는 거냐?
원래는 x_t같은 것도 있겠지. 저걸 OLS하면 안된다했지
스퍼리스우스 하는 거니까.
종속변수를 first difference 취해.
디퍼런스 취하면 stationary함.
유니루트한 경우에는 디퍼런스를 취해서 한다.
I(1)이냐. 인테그레이티드. 한번 차분해야 stationary
I(2) 논스테이셔너리. 두번취해야 stationary
디퍼런스 해서 OLS 돌리면 됨.
별문제 아니네요?
그냥하면되겟네요?
그것도 그렇지가 않아요.
그냥 Y와 X의 관계와
Y 와 X의 관계와 Y 변화와 X의 관계는 같지 않음.
공적분이라는 건 뭐냐?
1. 앵글 그랜저.
불안정 시계열 y도 불안정 x도 불안정이라면
디퍼런스 취해사 분석해야함. 둘다 불안정이라고 할지라도...
둘 사이에 공적분 관게가 존재한다면
불안정 시계열이라고 할지라도
X, Y 둘다 불안정이라고 해도
difference를 취해서 분석을 한다.
그럼 안정적으로 바뀌니까.
그런데 둘다불안정 시계열이라고 할지라도
불안정 시계열 사이에 공적분 관게가 존재한다면
그냥해도 그 결과가 spurious가 존재하지 않음.
오차수정모형 error correction 모형
Y_t가 있고 x_t가 있고 I(1)
둘다 불안정. 한번 디퍼런스 치하면 안정적으로 바뀜.
둘 사이에 선형 결합이 가능하다면
둘 사이에 선형결합이 안정 시계열이야.
두개는 불안정 시계열인데 둘 간의 결합이
안정적인 방정식이 잇따면 그러면
얘네 둘 간에 공적분 관계가 있는거야.
Zt를 어케 찾아내요?
앵글 그랜저 테스트. 이름만 얘기할게.
이게 공적분 테스트야
1) 앵글 그랜저 테스트
2) 요한센 테스트
앵글 그랜저는 두변수간 곤계
요한센은 두 변수 이상 관계